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2

업무 역량을 나는 어떻게 길러낼 것인가? 참 어렵다. 난 무엇을 해야할까에 대한 생각이 들게 되었다. 데이터 분석가 + 인공지능 분석가가 되고 싶지만, 일단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제대로 하고 싶고, 실제 스타트업이건 무엇이든 백엔드 + 프론트엔드를 아우르른 풀스택 역량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역량(이부분은 파이썬을 골자로 캐글 대회 나가고, 이걸로 프로젝트 보여주기) 언어로는 자바, 파이썬, SQL, 스프링, OPENCV 를 다루고, 프레임워크, 클라우드도 빠삭하게 공부를 해야 겠다는 점이고, 또 나의 근본인 캐글 강의 / 실무강의 (워드 엑셀 피피티) / 디자인 강의(포토샵 등) 컴퓨터공학 과목 수업 강의 등을 하면서 추가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하다보니 모두를 담지못하는 느낌이 든다. 우선순위와 순서를 정하자!! 컴퓨터공학 매주 과제는.. 2020. 12. 19.
한국과 스파르타 아래의 글을 읽으면서 우리나라는 참 많은 문제를 띄고 있다는 것을 새삼 또 느꼈다. 세계 최저의 출산율, 무역 의존형 경제 가계부채, 국가부채의 증가, 불로 소득 계층 및 캥거루족의 등장 과연 우리는 행복한가? 집은 사기 힘들고, 물가는 비싸고, 건물주의 세상이고, 가계부채, 국가 부채는 증가하고, 출산율도 낮지만, 애를 낳으려고 해도 눈치를 보아야 하고, 취업은 점점 늦어져 캥거루족을 나타나게 하고, 중국, 미국, 일본과 같은 나라와 무역 의존하게 되서, 사드같은 사태 터지면 나라 경제가 휘청하고, 결국 우리나라가 강해지려면 내수가 탄탄하게 받쳐지도록 소비문화가 권장되어야 하고, 집은 손쉽게 사면서, 많이는 살 수 없게 제도적으로 제어를 하고, 무역 의존은 다른 나라로 저변을 확대..하겠지만 힘들어보이.. 2020. 12. 19.
[인사이더스] 나의 불안함을 채워주는 서비스 어떨가? www.insidus.ga/?fbclid=IwAR0pXczaTlETrEWP6I3s_bKUpn69UItLt5SIAGFhp463VOZ0_3H5y2vD4Xc https://www.insidus.ga/?fbclid=IwAR0pXczaTlETrEWP6I3s_bKUpn69UItLt5SIAGFhp463VOZ0_3H5y2vD4Xc 문과 출신에 어쩌다 기획자로 커리어를 시작했는데, 업무 자체나 커리어패스나 모르는 게 많아서 막막했어요. 팀이 작아서 기획자 출신분들이 몇명 안계시기도 하고 주신 업무나 이직에 대해 www.insidus.ga 요즘 부쩍 불안감이 증폭하고 있다. 다들 나에겐 잘할 수 있을 거다. 멋있다. 새로운 도전과 선택을 하는 게 부럽다 라고 하지만, 나도 나 자신에 대한 확신이 들어서 이 길을 오게 되었.. 2020. 12. 19.
개발자..객체 지향 그리고 나 아래의 내용은 한국말인데도 참 어려운 거 같다. 개발자의 세계는 아는게 20퍼센트, 알아야한다고 생각하는게 80퍼센트라면, 80퍼센트를 다 채워넣으면 다시 알아야한다고 생각하는게 80펀세트가 되는 세상인 것 같다. 객체 지향이 아주 신의 선물처럼 느꼈던 나였는데 C++을 만든 이가 이렇게 말을 하니, 더더욱 조심스럽게 생각하고 세심하고 신중하게 생각해보아야 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BM 사태처럼 지금 개발자들이 말도 안되게 양성되고 있다. 양성은 되는데 과연 그런 수요를 흡수할만한 국내 업체들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는 생각을 항상 했었다. 미국도 똑같구나...한국에서는 개발자 부족하다고 말하지만, 그게 맞는지도 모르겠고, 신입 개발자(경력있는 개발자)를 얼마나 뽑을지 , 나는 어느수준에 와있는가 참 모.. 2020.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