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2

코로나 그리고 경신 대기근 암기식 교육에 치중되어 있는 한국식 역사 교육에서 빠진 한가지가 있다. 1670년 경신 대기근 어쩌면 한국의 1592년 임진왜란 1597년 정유재란 1627년 정묘호란 1636년 병자호란을 겪은 세대가 태양활동의 감소로 인해서 소빙하기가 생겨나고, 지구의 대류 감소와 화산재등으로 인해서 햇빛 감소로 농작물의 기근이 나타나고 결국 1년 + a에 이르는 최악의 기근이 있었던 1670년 이다. 단순히, 가뭄인줄로 알았는데, 엄청난 수준의 우박,서리,가뭄,홍수,해일,메뚜기떼가 있었던 최악의 년도였다. 조정에서는 구휼미를 베풀었는데, 그 와중에 폐사한 소와 돼지를 먹다가 인간에게 전염된 조선판 흑사병으로 불리던 구제역까지도 퍼져서 더더욱 심각했던.... (임진왜란이 더 나았다고 할정도이니....) 조선의 인구가 .. 2020. 12. 19.
[머니맨 인용] 멋있게 말하는 5가지 방법 항상 멋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존경받는 사람이 되고 싶다.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남들이 업적이라고 인정할만한 성과가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위의 능력등을 통해 사회적약자를 조금이나마 돕는 사람이 되고 싶다. 1. 정제된 표현을 써라 2. 최대한 쉽게 말하라 3. 흥미롭지 않으면 짧게 하라 4. 진심을 담아 담담하게 말하 5. 자기 이야기를 하라 -> 멋있게 말한다는 건 상대에게 내 메시지를 와닿게 한다는 의미다. 이말들이 참 맞는 거 같다. 나는 주로 1번, 3번을 잘 못했던 거 같고, 2번에 대해서는 노력하는 중이며, 4번은 뭔가 진심을 느껴지게 하기 위해서 너무 끌었던 것 같고, 5번에대해서는 나에 대한 루머가 생길까, 화를 좌초할까 싶어서 나의 이야기가 아닌, 남의 이야기를 하려고 .. 2020. 12. 19.
나의 연봉과 실력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더보기 - 페이스북 김형석님의 글에서 연봉과 실력에 대한 두 가지 변하지 않는 사실은 아래와 같다, 1) 연봉과 실력은 상관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2) 실력이 있으면 연봉은 결국 올라간다. 이 둘은 서로 상충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둘다 맞는 이야기다. 1번은 어떤 시점에서 조직 내에서 연봉과 실력 분포를 확인했을 때 발견할 수 있는 현상이다. 연봉이 높아도 실력이 없는 사람도 많고, 이미 실력이 있는데 연봉이 턱없이 낮은 경우도 많다. 이렇게만 보면 연봉과 실력은 랜덤분포인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2번은 어떤 사람의 실력과 연봉을 시간적으로 따라갔을 때의 현상이다. 실력이 있으면 결국 그 사람은 해당 조직에서 연봉이 올라가거나, 이직을 통해 연봉을 높일 수 있다. 실력이 있는 사람은 언제나 부.. 2020. 12. 19.
착한 재개발, 나쁜 재개발 더보기 우리나라의 부동산 정책을 보면 참 웃기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집값 상승으로 여겨지는 부동산 가치 상승의 주요 요인은 학군, 편의시설, 역세권, 복지시설, 등일 텐데,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해서 신도시를 발표하고 신도시 인프라가 없으니 지하철,GTX를 세우고 이것들이 매력이 있기 위해서 주요 거점을 통과하도록 설계한다. 그렇다보니, 서울집값 잡고, 공급난 해소하겠다고 만든 신도시로 인해서 다시 서울 집값이 오르게 되는 구조이다. 업무단지, 산업단지는 정해져있고, 주거단지나 구성을 획기적인 변화를 꾀하는 역할 하는 곳이 국토교통부인데, 아무리 신도시에 개발을 한다고 하더라도, 인프라는 여전히 서울이 좋을 것이고, 언젠가 정권이 바뀌건, 운이 좋건 해서 재개발만 되면, 서울의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이 좋.. 2020.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