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2 당신의 조직은 실패를 인정하고 자산화하고 있습니까? 내가 어떤 위치에 있고, 어떤 영향력과 능력을 갖추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 브런치 - 스타트업의 대체 불가능한 경쟁력(by 블루엔진) brunch.co.kr/@pck0901/101?fbclid=IwAR3a4oTTHEDtkTQEEb5OOtRH7T1ltCBurZ0adHDwYRP0sq5XEqxDRKx7r8I 스타트업의 대체 불가능한 경쟁력 실행과 멈춤에 대한 짧은 의사결정 거리감 | 우리가 데이터를 분석할 때 자주 듣게 되는 말 중에 "Garbage In, Garbage Out" 이라는 말이 있다. 가설에 적합하지 않은 데이터나 전처리가 정확히 되어있 br.. 2020. 12. 20. 꿈을 갖는 10배의 법칙 1. 성공한 사람들은 꿈을 크게 꾸고, 원대한 목표를 세운다. 비현실적이라는 이야기를 들으면서도 말이다. 2. 10배의 법칙에서 묻는 두 번째 질문은, '당신의 꿈과 목표가 얼마나 큰가?'이다. 3. 평범한 사람들은 '현실적으로 살라'는 가르침을 따르는 반면,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이 어디까지 광범위하게 뻗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한다. 4. 내가 지금껏 살아오면서 한 가장 큰 후회는, 원대하고 적극적인 생각이 아니라 처음부터 현실적인 생각에 기초해 (너무나 낮은) 목표와 타깃을 정했다는 점이다. 5. '큰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은 그렇게 했다. 6. 현실적인 생각과 작은 목표, 자잘한 꿈들은 어떤 동기도 부여해주지 못할 것이고, 당신을 평범한 사람들과 경쟁하도록 몰고갈 것이.. 2020. 12. 20. 마음이 가난한 사람이 되는 것에 경계하자 세상에서 가장 같이 일하기 힘든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들이다. 자유를 주면 함정이라 얘기하고 작은 비즈니스라 이야기하면 돈을 별로 못 번다고 이야기하고 큰 비즈니스라고 이야기하면 돈이 없다고 하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자 하면 경험이 없다 하고 전통적인 비지니스라고 하면 어렵다고 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하면 다단계라고 하고 상점을 같이 운영하자고 하면 자유가 없다고 하고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자고 하면 전문가가 없다고 한다. 그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구글이나 포탈에 물어보기를 좋아하고 희망이 없는 친구들에게 의견 듣는 것을 좋아하고 자신들은 대학교 교수보다 더 많은 생각을 하지만, 정작 장님보다 더 적은 일을 한다. 그들에게 물어보라.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그들은 대답할 수 없다. 내 결론은 이렇다.. 2020. 12. 20. 20대의 나, 30대의 나 분명히 나는 나이에 대해서 신경쓰지 않는 사람이었다. 20살 대학교 1학년 21살 ~ 23살 군대 23~25살 대학교 2~4학년 26살 석박통합과정 1년차 27살 석박통학과정 2년차 (지금) 분명히 휴학 한번 하지 않았다가, 이제서야 나의 길을 걷기 위해서 휴학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는데 26살부터 돈을 벌던 친구(남자)들은 차를 사고 24살부터 돈을 벌던 친구(여자)들은 대리를 달 예정이고 그들과 비교되는 내자신을 떄로는 보면서, 나의 나이에 대해서 참 늦었지 않았다고 생각하면서도 늦었다는 느낌을 받는다. 하지만 30대가 된다면 어떻까 싶다. 전기/전자 관련 기업을 가서 돈을 벌며, 일상의 변화없이 살아가는 나 Vs IT기업에서, 백엔드 개발자 or 웹 풀스택 개발자 or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삶을 살.. 2020. 12. 20. 이전 1 ··· 44 45 46 47 48 49 50 ··· 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