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2

비즈니스 모델 알아가기 당위성 입증 : 개발자와 비즈니스 모델 이 강의의 목적 : 이걸로 스타트업을 차리겠다가 아닙니다. 이걸로 기획자가 되보자는 게 아닙니다. 우리는 기능 구현에 머물러서도 안 되고, technician, coder, programmer가 아니라 developer가 되기 위해서는 올바른 방향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배에서 노만 젓는 것이 아니라, 배가 가는 방향성을 보면서 항해사의 시각에서 노를 젓는 것이 노를 젓는데 가장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과연 우리는 실제 회사에서 기획자가 요구하는 것 모두 실행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거를 것은 거르고, 맞는 것만 취사 선택해서 개발을 진행하는 게 맞을까요? 그렇다면 거르는 기준은 무엇을 기반으로 해야할까요? 거른다고 쳤을 때, 그것을 기획자가 타당하고 느끼고 .. 2020. 12. 18.
나는 폴리매스인가? 급변하는 인공지능 시대에서 미래학자들은 생존을 위해 '폴리매스' 역량을 기르라고 조언한다. 평생 직장은 점점 사라지고 있다. 빠른 은퇴와 더불어 나이가 점점 들수록 승진할 기회가 줄어드는 추세다. 더불어, 앞으로는 전문직도 더 이상 미래를 보장할 수 없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경제개발 상담가로 25년간 경험을 쌓은 캐서린 브룩스는 경제적 안정을 확보하는데 한 가지 직업만으로 부족하다고 결론지었다. 특히 요즘과 같은 시대에는 다수의 경력을 쌓는 것이 아니라 사치가 아니라 필수라고 제안 한다. "오늘날처럼 혼란한 노동시장에서는 구직자들이 유연해야 하고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재능을 개발시켜야 한다. 현재 경제에서는 직업 하나만 놓고 계획을 세우면 안 된다. 플랜 B와 플랜 C도 고려해야 하고 심지.. 2020. 12. 18.
유튜브와 넷플릭스는 어떻게 ‘문화다양성’을 떨어뜨리나 Trigger Link : https://youtu.be/II_0mx__Rno (중간 부분의 "소셜 딜레마" 부분) → 위 토픽에 대해서 글을 쓰게 된 계기가 되는 링크를 Trigger Link라고 명명합니다. 제가 대학교를 다닐 때 까지만 하더라도 지금처럼 사회 계층 간의 대립이라고 해야되죠. 세대간의 갈등이라던지, 남녀 갈등이라던지 그렇게 심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땐 그래도 정론이라는 게 있었고,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권위있는 팩트 라는 게 있었거든요. 근데 지금은 양쪽편 둘 다가 동의할 만한 뭔가 확실한 팩트, 여론조사, 통계수치도 다른거 갖다 대고, 양쪽이 동의할 수 있는 그라운드가 없는 거에요. 그러다 보니까 비단 우리나라 문제가 아니라 전세계적인 문제가 도리 정도로 의견이 다른 사람들 사이에 .. 2020. 12. 18.
2020 이슈를 시작하며..... 세상은 점점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정보화 시대를 뛰어 넘어 데이터의 시대에 진입한 요즘, 누군가는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해 뒤쳐지기 마련이고, 대부분은 Youtube, Netflix 등의 알고리즘이 유도하는 대로 접근해가며, 본인의 성향, 본인의 생각(가치관, 정체성) 등에 맞는 정보만을 취사 선택하고 있다. (참고 링크 :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35 ) 진보와 보수, 좌파와 우파, 여당과 야당,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 힘, 민주당과 공화당, 공민당과 민주당, 세상은 다양해져 가는데, 이분법&흑백 논리에 의해 세상은 둘로 극명하게 갈라지는 추세이다. 이분법적으로 나누게 되면, 분명히 이를 통해 이득을 보는 세력은 각 양쪽의 기득권이 .. 2020. 1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