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ty_Developer&Analyst/02_Data Analyst

11월 16일 삼정 KPMG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특강

스타트업_디벨로퍼 2020. 12. 18. 15:54

미국감사 vs 한국감사

문과생이었던 저는 이렇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었습니다

변성윤

TABLO, AZURE, POWER BI

  1.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데이터 전문가 양성과정이 운영되고 있는데, 관리자 입장에서 역량을 판별하시는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포트폴리오!!!->바로투입가능

  2. 회사에서 데이터 전처리 가공 분석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얻고자하는 결과들이 어떤 것인지 예시를 들어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UTF -8 , 인코딩, ASCII, IT BASIC 지식이 중요함!

  3. 삼정 KPMG에서 쌓아온 데이터 분석역량을 기반으로 확장 가능 한 것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 자연어처리, PDF 파일, PARSING!, 딥러닝, NRP, 개발 역량

 

 

→ 클라우드에서 이용 가능하며, 도커(데브옵스, 서버 엔지니어), pipelining,

  • Kaggle competition → 꼭 활용해봐라!!
  • Google cloud platform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깃허브 커밋을 보여줘서 자랑스럽게 출석체크를 실행하도록 한다!!!! → 열정으로 승부보도록 한다!!! (깃허브, 깃랩)

 

 

파이토치가 호환이 잘된다?, 텍스트, 이미지 등을비즈니스로 하는 회사를 기반으로 보여주고, 미스매치가 안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석사이상!! - > 결국 포트폴리오가 매우 중요하다!!!

수리/통계/산업공학 계열 전공자 및 석사 이상 소지자를 선호!

  1. 사실 첫 포지션을 어떻게 정하는지에 대해 다들 막막해하실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금 데이터 엔지니어링, 데이터 사이언스, UI/web applications, subject matter experts가 있는데, 네 포지션중 주니어 개발자로서 추천해주실만한 포지션이 있을까요? (대부분 2년 이상의 경력개발자등을 뽑다보니 여쭤보게 되었습니다.) → 결국은 백단으로 들어가는게 낫고, 프론트는 데브옵스를 하는 것?

 

  1. 포트폴리오 :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매일 배운 것들을 쌓아서 자체로 보여주는 것을, 해야함!! → 깃허브도 보여주면서(IT 환경에서 일할수 있는 사람이야)

3대 황족 : 4개 국어 BM, effect engineer, 서버 엔지니어

ES engineer

REST API → 긁어오는 거!

ubuntu / linux?

 

  • 클론 코딩!! (삼정 사이트 그대로 1시간만에 짜보기?) / 정석대로 짜는지?

포트폴리오 100장 이상으로 보여주기!!

  • SNS 키워드 유사도 분석! ( 설명 할줄 알면 했다고 하는 것! )
  • 각종 데이터를 시각화해서 그래프 형태로 어르신들이 보기 좋게 만들기(핵심코드등은 보여주고, 분석과정에서 유사점등을 체크해보도록 하기, 끼워 맞추기 등을 보여주기!
  • 아키텍쳐 제안
  • 코드는 유사하되, 컨텐츠를 나눠서,ERLC 등을 기반으로 보여주기!
  • 데이터보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떠한 분석을 하고 전력적 사고! (ERRC ) 제거 증가 감소 창조
  • feature engineering
  • 데이터를 섞어서 비즈니스로 보여주도록 한다!!

팀 구성 : 비즈니스 리더(상무), 팀, 인프라, 회계사, 프론트 1,2, 수준, 데이터 분석

회계쪽은 산업 전반적으로 handling 이루어 진다.!

석사는 커리큘럼 보도록!

해당 직무에서 현업에서 3년 경력 이상이 있는 경우 → 인턴을 들어가보는게 맞다고 생각이 듬!! → 2월부터 원서 쓰도록!!

→ 캐글 동메달만 따도 레코드가 매우 좋아보임! → 떨어진 썰 풀자!

  1. 국내에서는 데이터 엔지니어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 데이터 분석가의 단계로 점차 커리어를 바꾸게 뽑고 있는 추세일까요?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분석가 정도로 구분되고 ML engineer로 나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