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2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Singleton 하나만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있음. -> 세팅을 관리하는 객체는 하나만 만들어져야함. -> 이 경우에서는 페이지2,3가 Settings가 서로 다른 객체이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 getSettings를 활용하게 되어 처음에 생선된 것이 정적으로 만들어져 두 페이지 모두 공유되어 하나의 값을 바라보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 멀티스레드 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기 때문에, 언어별로 해결하는 것은 찾아보아야 함! Strategy : 전략 패턴 모드가 바뀔때마다 -> 전략이 수정되어 다르게 나오게 된다.!! 클래스별로 지정해서 모듈화된 것으로 만들어야함!! 검색 모듈을 갈아끼우는 방식으로 만들어줘야 한다!! 초기화 진행후에 세터로 설정하고 나면, 기존에 인터페이스인 Sear.. 2020. 12. 26.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절차적 프로그래밍 클래스라는 틀로 결과를 만들수 있다!!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경우만 Public으로 만들어 놓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역할을 한번에 하고 싶어진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터페이스가 나타남 동일한 청소라는 메소드로 모두에게 일을 시킬수가 있게되며, 어레이 리스트를 통해서 한번에 지정도 가능하다! 교실 단위로 묶어서 청소가 가능해짐 과학실 청소팀은 상속시켜서 진행할 수가 있게됨. 교실 청소당번은 모호함 그래서 abstrcat 라고 지정하며(객체 불가능) 이자체는 이를 상속한 자식클래스로만 객체가 생성됨을 알수 있음. 상속은 물려받는것, 인터페이스는 장책하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 ---------------------------------------.. 2020. 12. 26.
개발 기본 용어(디버깅, 인터프리터, 배포, 컴파일러, 빌드, 환경변수,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디버깅 : 프로그래밍에서 쓰이닌 80 퍼센트, 소프트웨어에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을 찾는 것!! 만든느 과정중에 갖은 오류를 발견함. 디버그를 개발중인 상태를 의미하기도 함. 코드에 오타나 오류, 논리 오류, 프로그램 안맞거나, 예상하지 못한 오류들로 생겨남. 설계도를 살펴보고 문제를 파악하게 된다. 코드 특정 단계마다 살펴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VS Code, IntelliJ 등 개발툴들은 대부분 디버깅 기능을 제공함. 컴파일러 Vs 인터프리터 컴퓨터의 언어인 0과 1의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하기 위해서 C, C++, 자바는 컴파일러를 거치게 된다. (미리 기계언어로 주기 전에 컴파일을 진행하게 된다.) -> (자바의 경우) 클래스 파일을 통해서 자바가사머신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모든 기계에.. 2020. 12. 26.
화면설계서(스토리보드) 작성방법 구성은 아래와 같다. 표지 목차 - 히스토리 - 메뉴구조 - 화면목록 설계 -프로세스 -정책 -UI, 기능정의 마무리 표지 표지 목차 -> 영어로 적는 것 추천 - 히스토리 -> Version / Author/ Description /Date 위주로 - 메뉴구조 -> 메뉴 구조를 트리로 보여주기! - 화면목록 -> 페이지 변경사항등을 적어주도록 한다! 설계 -프로세스 프로세스 -> 평행사변형, 분기 -> 마름모 , 직사각형 -> 페이지 변수 입력한느 경우 오른쪽 왼쪽과 같이 필드, 버튼, 방식등을 추가한다. 알람 표시도 넣으면 좋다 -정책 -UI, 기능정의 -> 번호 부여 필수항목/유효성 체크 하면 좋다! 마무리 표지 ------------------------------------------------.. 2020. 12. 25.
반응형